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Column #3 SAT 에 관하여 : Critical Reading[벤자민 허원장]

안녕하세요? 지난번 칼럼에서 저희가 기존의 SAT와 내년봄부터 시행되는 NEW SAT의 차이점을 살펴보았으나, 시기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현재 기존SAT를 올해말까지는 택하고 있으며, 또한 이 과도기에 얻은 점수들은 향후 내년까지도 각 대학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입학사정에 유효할수 있으므로 일단은 현재 시행되는 기존의 SAT에 대해 알아보되, 필요한때마다 NEW SAT에서 바뀌어지는 부분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현재 시행되는 기존의SAT 는 Critical Reading, Writing 그리고 Math이렇게 세 과목을 3시간 45분에 걸쳐 보게 됩니다. 먼저 기존의 Critical Reading section을 살펴볼 것 같으면sentence completion과 long passage와 short passage로 나눠지며 sentence completion은 얼마나 많은 단어를 알고 있으며 또 sentence structure를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를 테스트 하는 시험으로 밑줄 쳐져 있는 부분을 가장 알맞은 단어로 채워 넣어 가장 자연스러운 문장을 만들어가는 5선다지 형의 문제입니다. Sentence completion 문제는 총 19문제가 나옵니다. Long passage나 short passage reading문제는 예문을 읽고 그 예문을 빨리 정리하여 그에 연관된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시험입니다. 학생들이 조심해야 하는 것은 passage reading 문제는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테스트 하는 것이 아니고 passage에 나온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므로 끝까지 문제를 출제한 사람의 의도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Passage reading 문제는 총 48문제가 나오는데 예를들어 현실적으로 long passage의 경우 5개에서 6개 문단으로 구성되는 거의 한 페이지에 달하는 내용을 읽고 10문제에서 12문제를 7분에서 8분내에 푼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때문에 우선 모든 문제들을 1, 2분내로 먼저 파악하고 문제가 요구하는 passage line 에 밑줄을 그어가면서 그 부분들을 주위깊게 파악해가며 빠른 속도로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critical reading에서 요구되는 test taking skill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편 새로이 시행되는 NEW SAT에서는 기존의 단어와 문장중심의 이해력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대학이나 사회의 직장생활에서 응용할수 있는 실질적인 지식과 그에대한 독해능력을 개발시키고 측정하는 부분에 더 중점을 둔점이 기존의 SAT와 다른점입니다. 현재 시해되는 SAT의 Critical reading 섹션은 얼마나 많은 vocabulary 를 알고 있으며 그 단어의 사용법과 전후 문장의 관계를 이해하며 문제를 풀어가야 함으로 이 섹션에서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결과적으로 vocabulary foundation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약 3500개 정도의 구성되는 SAT 전문 단어들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느냐와 latin-root나 prefix, suffix등 어원 관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단어뜻을 모르더라도 전후 문맥을 보아가며 단어뜻을 유출해 나가야 하는 부분도 상당부분 점수를 올리는데 작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새로 시행되는 NEW SAT에서는 이러한 Tactic외에도 근본적으로 많은 지식과 실생활에 응용되는 문구및 Article에 많은 접촉을 함으로써, 해박한 지식으로 독해능력을 향상시키는것이 점수를 올리는데에 꼭 필요한 요소가 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www.berkeleyus.com웹사이트를 참조하시거나 425-531-7121, 버클리 학원으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05-23

AT 에 관하여 : Critical Reading[벤자민허 원장]

Column #3 AT 에 관하여 : Critical Reading 지난번 칼럼에서 저희가 기존의 SAT와 내년봄부터 시행되는 NEW SAT의 차이점을 살펴보았으나, 시기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현재 기존SAT를 올해말까지는 택하고 있으며, 또한 이 과도기에 얻은 점수들은 향후 내년까지도 각 대학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입학사정에 유효할수 있으므로 일단은 현재 시행되는 기존의 SAT에 대해 알아보되, 필요한때마다 NEW SAT에서 바뀌어지는 부분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현재 시행되는 기존의SAT 는 Critical Reading, Writing 그리고 Math이렇게 세 과목을 3시간 45분에 걸쳐 보게 됩니다. 먼저 기존의 Critical Reading section을 살펴볼 것 같으면sentence completion과 long passage와 short passage로 나눠지며 sentence completion은 얼마나 많은 단어를 알고 있으며 또 sentence structure를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를 테스트 하는 시험으로 밑줄 쳐져 있는 부분을 가장 알맞은 단어로 채워 넣어 가장 자연스러운 문장을 만들어가는 5선다지 형의 문제입니다. Sentence completion 문제는 총 19문제가 나옵니다. Long passage나 short passage reading문제는 예문을 읽고 그 예문을 빨리 정리하여 그에 연관된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시험입니다. 학생들이 조심해야 하는 것은 passage reading 문제는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테스트 하는 것이 아니고 passage에 나온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므로 끝까지 문제를 출제한 사람의 의도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Passage reading 문제는 총 48문제가 나오는데 예를들어 현실적으로 long passage의 경우 5개에서 6개 문단으로 구성되는 거의 한 페이지에 달하는 내용을 읽고 10문제에서 12문제를 7분에서 8분내에 푼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때문에 우선 모든 문제들을 1, 2분내로 먼저 파악하고 문제가 요구하는 passage line 에 밑줄을 그어가면서 그 부분들을 주위깊게 파악해가며 빠른 속도로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critical reading에서 요구되는 test taking skill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편 새로이 시행되는 NEW SAT에서는 기존의 단어와 문장중심의 이해력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대학이나 사회의 직장생활에서 응용할수 있는 실질적인 지식과 그에대한 독해능력을 개발시키고 측정하는 부분에 더 중점을 둔점이 기존의 SAT와 다른점입니다. 현재 시행되는 SAT의 Critical reading 섹션은 얼마나 많은 vocabulary 를 알고 있으며 그 단어의 사용법과 전후 문장의 관계를 이해하며 문제를 풀어가야 함으로 이 섹션에서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결과적으로 vocabulary foundation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약 3500개 정도의 구성되는 SAT 전문 단어들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느냐와 latin-root나 prefix, suffix등 어원 관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단어뜻을 모르더라도 전후 문맥을 보아가며 단어뜻을 유출해 나가야 하는 부분도 상당부분 점수를 올리는데 작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새로 시행되는 NEW SAT에서는 이러한 Tactic외에도 근본적으로 많은 지식과 실생활에 응용되는 문구및 Article에 많은 접촉을 함으로써, 해박한 지식으로 독해능력을 향상시키는것이 점수를 올리는데에 꼭 필요한 요소가 되겠습니다. Column #4 SAT에 관하여 : Writing 지난 칼럼에서는 SAT Reasoning Test에서 Critical Reading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 보았고, 오늘은 NEW SAT에서 EBRW(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 로 병합된 Writing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존의SAT writing 테스트는 25분짜리 Essay Writing 섹션으로 시작 되는데 이 부분은 NEW SAT에서는 옵션으로 선택되며, 기존의 25분 대신 50분으로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한편 기존의 SAT에서는 주어진 시간이 25분밖에 안되는 에세이 부분이다보니까 first draft 이상의 에세이를 쓰기는 힘들 것입니다. 다시말해서 그 25분 안에 1,2분 동안 어떻게 쓸것인지 brain storming 하고 intro, body, supporting examples, 그리고 conclusion까지 에세이의 모든 것을 정리해야되는데 점수를 먹이는 grader가 기본적으로 보는 관점은 우선 문법에 맞춰서 에세이를 써나갔는지를 보고, 두번째는 좀 전에 말씀드린 structure의 네부분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 세번째는 학생이 claim하려는 부분의 아이디어가 논리적으로 전개 되었는지, 그리고 그 부분을 얼마나 많은 예제로 supporting하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이 생각하는 부분을 정확한 vocabulary를 선택하여 사용했는지등을 참조하여 점수를 채점하게 됩니다. Reader라고 불리는 채점자는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명이 읽게되며 각각 1-6점의 scale로 점수를 주게되며 이는 토탈 12점으로 채점됩니다. 현재 시행되는 Writing 섹션의 Essay부분은 전체 800점에서 약 30%의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아울러 기존의 SAT Writing Test에는 에세이 Writing외에도 약 50문제 정도의 multiple choice문제들이 있는데, 이 부분이 NEW SAT에서는 EVRW로 병합되어지는 부분이라 하겠습니다. 기존의 SAT는 Identifying Sentence Error 18문제, Improving Sentences 25문제, 그리고 Improving Paragraph 6문제를 테스트 하는 25분짜리 섹션과 10분짜리 섹션으로 구성이 됩니다. Sentence Error 문제는 문장에서 밑줄 그어져 있는 부분의 문법적인 오류나 쓰임의 오류를 찾아내는 문제 형식이며, 한편 Improving Sentences는 25문제나 출제되며 문법과 단어의 선택, punctuation과 문장의 구조를 보면서 답을 유추해 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많은 단어의 사용법과 문법이 상당히 중요시 되는 시험입니다. 현재 시행되는 기존의 SAT Writing부분 객관식 문제가 49문제로 오지선다형을 60분안에 푸는것에 비해 NEW SAT에서는 Writing and Language라고 불리우게 되며, 총 44문제를 사지선다형으로 35분안에 풀어야하며 대신 오답에 대하여 추가 감점은 없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www.berkeleyus.com웹사이트를 참조하시거나 425-531-7121, 버클리 학원으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05-16

[벤자민허 원장] SAT의 개요

Column #1 안녕하십니까? 오늘부터 미국대학 어드미션과 고등학교 SAT I, II 및 AP과정 전반에 걸쳐 교육칼럼을 맡게된 버클리 학원에 벤자민 허 원장입니다. 우선 오늘은 미국대학 입학 과정에서 고려하는 분야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잠깐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여러가지 factor들이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미 대학에서는 다음의 3가지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학생들을 선발하게 됩니다. 그 첫번째는 GPA라고 불리는 학교 내신 성적이고, 두번째는 SAT I 과 SAT II 혹은 ACT라고 불리는 미국 수능 고사의 점수이며, 세번째로는 학생들의 non-academic부분의 과외 활동과 봉사활동에 실적 여부입니다. 우선 GPA의 경우는 각 고등학교에 따라 평가 방법이 약간씩 다를 수 있으나 4.0스케일로 성적을 매기는 unweighted GPA가 있는데, 이 경우 A는 4.0, B는 3.0, C는 2.0으로 매기는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은 소위 weighted GPA라고 불리는 방법인데, 이것은 AP과정이나 Honor과정에 엑스트라 1.0 포인트나 0.5 포인트를 더 가산하여 계산 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9학년때부터의 성적표를 요구하고 있으나 대학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선택한 과목의 중요성이나 9학년 이후의 성적을 더 중점적으로 보는 대학들이 일반적으로 더 많이 있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한편 UC대학들은 9학년 성적을 제외한 10학년과 11학년에 성적으로 학생들을 평가하여 입학여부를 결정하게 되는것이 다른학교와 많이 다르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내신성적 부분과 ECA(과외활동) & Community Service부분은 다음주에 더 자세히 다루도록하고 이번주에는 우선 많은 학부모님들이 관심을 갖고는 있지만 잘 이해하지 못하는 미국의 수능고사 시스템에 대하여 차례로 세밀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실적으로 이민 생활에 바쁜 교포 학부형들이나 유학을 보낸 유학생 학부모님들께서 바쁜 생활 일정들로 자녀들의 학업에 필요한 만큼의 관심을 못쓰는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날 갑자기 자녀들이 대학 준비를 하게 되었음을 깨닫게 되고, 이 과정에서 많은 부모님들은 대학입학에 관한 충분한 정보가 없으므로 무척 당황해 하시곤 합니다. 그래서 이 칼럼들을 통해 미대학 입학에 관한 많은 정보를 드리고 현실적인 질문들에 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Column #2 SAT에 관하여 : SAT의 개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학생들이 궁금해하는 2016년 봄부터 시행되는 NEW SAT에 대해서 칼리지보드가 현재까지 발표한 시험요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시행되는 SAT 는 Reasoning Test로 불리우는데 크게 Critical Reading과 Writing, 그리고 Math로 분류가 되어 있어 각각 800점 만점으로 토탈 2400점 만점이었습니다. 하지만 2016년 봄부터 시행되는 NEW SAT에서는 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이라고 불리는 기존의 Reading과 Writing를 병합시킨 새로운 섹션이 생기게 되며, 점수는 200-800점 스케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한편, 에세이 부분은 기존의 Writing부분에 포함됐던 부분을 떼어내서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부분으로 바뀌었습니다. 새로 생긴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 섹션은 기존의 Reasoning Skill과 단어중심의 이해력을 강조했던거와는 달리 좀더 실질적이고 대학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문장이해력과 독해력 그리고 그에대한 단어 선택 및 어휘력을 발휘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더 많은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별히 유의해야될 사항은 기존 SAT와는 달리 NEW SAT에서는 틀린 답을 선택했어도 그에 대한 추가 감점이 없다는 점입니다. 옵션으로 행해지는 에세이 부분은 기존의 25분에서 새로 50분으로 추가되며, 각 대학마다 요구하는 학교와 아닌 학교로 구분되므로 대학지원시 상세히 개별적으로 알아봐야 될것입니다. 한편 새로 개정된 수학부분은 기존의 세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져 객관식및 주관식 모두 54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던것이 NEW SAT에서는 두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져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는 38문항 부분과 사용할 수 없는 20문항 부분으로 총 58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시간은 각각 55분과 25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수학 문제의 내용은 기존의 계산능력이나 도표분석 중심의 풀이방식에서 탈피하여 NEW SAT에서는 실행활과 관계되는 데이터분석, Algebra와 Advanced Math를 사용하는 응용문제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것이 차이점입니다. 참고로 객관식은 기존의 5지선다형에서 4지선다형으로 바꼈으며, 특히 추가감점이 없다는 점입니다. 새로 행하여지는 NEW SAT는 기존의 SAT가 Critical Reading, Writing, Math로 이루어져 각 과목당 800점 만점으로 토탈 2400점이 만점이 되는반면, NEW SAT에서는 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 섹션 800점 그리고 Math 800점으로 총 1600점 만점이 됩니다. 시험은 1년에 7번 치뤄지는데 보통 10월, 11월, 12월, 1월, 3월, 5월 그리고 6월에 치뤄집니다. College Board라는 기관이 SAT 시험을 만들고 스코어도 관리를 하는데, 부모님과 학생들은 www.collegeboard.com에서 SAT 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꼭 참조하시고, 특히NEW SAT에 관한 변경사항의 정보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SAT의 전반적인 것을 말씀 드렸고, 다음주에는 SAT의 자세한 내용을 섹션별로 더 상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www.berkeleyus.com웹사이트를 참조하시거나 425-531-7121, 버클리 학원으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05-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